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정의와 장점, 적용 사례

퍼블릭과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을 모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유연하고 효율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정의부터 장점, 적용 산업 사례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Da Vinci's avatar
May 09, 2025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정의와 장점, 적용 사례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글 드라이브 등 파일 저장 서비스, MS 365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해 사용하는 각종 앱 서비스가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이죠.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이 중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장단점과 활용 예시 등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확인해 보세요.

👉 국내 기업 70%가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과 종류 알아보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란?

출처: freepik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정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모델을 결합한 것을 말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사업 초기나 워크로드를 예측하기 어려울 때 활용하면 초기 구축 및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보안이 중요한 내부 자료나 백업 데이터 등의 보안을 지킬 수 있어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은 두 방식의 장점을 적절하게 조합한 것이죠.

✅ 멀티 클라우드와 차이점

한편,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 최적화하는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 고객 데이터 관리에는 구글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주문 및 결제 시스템은 AWS를 활용하는 것이죠. 

멀티 클라우드 방식은 여러 가지 서비스를 병렬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서비스 제공사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기업의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지만, 관리와 통합의 복잡도가 올라가 효율성과 보안성이 저하될 수 있어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장점

출처: freepik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과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을 적절하게 취한 것으로, 서비스의 유연성과 비용 효율성, 보안 강화 등의 장점을 자랑합니다.

✅ 유연성과 확장성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을 채용하면, 특정 시기에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일시적으로 특정 서비스가 필요할 때 리소스를 즉시 확장하고 필요하지 않을 때 즉시 축소할 수 있습니다. 연휴에 트래픽이 몰리는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을 때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해 유연하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어요.

✅ 비용 효율성

필요에 따라 리소스 사용량을 유연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비용 효율성도 뛰어납니다.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서비스는 퍼블릭 클라우드로, 고객 개인정보나 기업 내부 자료처럼 보안이 중요한 부분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이원화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죠.

✅ 보안 강화

고객의 개인정보나 기업 기밀 자료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해 데이터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활용 예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여러 산업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안이 중요한 금융권과 의료계, 그리고 서비스를 유연하게 운영해야 하는 업계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적용 사례를 간단히 알아볼까요?

✅ IBK 기업은행

출처: 아주경제

IBK 기업은행은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공공 및 금융기관 최초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통합 관리 플랫폼(CMP: Cloud Management Platform)을 도입했습니다. 고객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시스템과 같이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대외기관과 연계가 필요한 업무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해 수행하는 것인데요. 이를 통해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초기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유연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갖춘 시스템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 충북테크노파크

출처: 중부매일

충북테크노파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를 활용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스마트 안전제어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를 통한 스마트 교육 등을 개발하고 지원했는데요. 고객들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유출 걱정 없이 안심하고 작업하고, 방대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기업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 일본 후쿠이 대학병원

출처: University of Fukui Hospital

해외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적용 사례도 눈여겨볼 만한데요. 일본 후쿠이 대학병원은 IBM 서비스를 활용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도입했습니다. 기존에 병원 직원이 관리하던 데이터는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전함으로써 프라이빗 클라우드 용량을 70% 줄여 시스템 운영 부담을 줄이고,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에 접근해 관리하고 운영하게 되었으며, 재해 발생 시 백업 지원 등의 문제를 해결했어요. 동시에 환자 기록과 같이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의 보안과 안정성은 개선했습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기업의 목적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만 결합해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는데요. 사업 초기이거나 신제품 출시 등 리소스 사용량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거나 초기 구축 비용이 부담스러운 기업이라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도 서로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합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의 복잡성과 비용 관리 등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우리 기업에 최적화된 클라우드를 구성할 때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수인데요. 

내부적으로 기술적 또는 인력 유용의 어려움이 있다면, 전 분야 IT 제작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개발 조직 다빈치에 컨설팅을 문의해 보세요. 베인앤드컴퍼니,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삼성 출신 엘리트로 구성된 개발 조직 다빈치가 오랜 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 방식을 제안합니다.

Share article

Codex - 다빈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