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데이터센터가 중요한 이유 3

AI 시대에는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집니다. 국내외 기업의 데이터센터 설립 소식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a Vinci's avatar
Jul 09, 2025
AI 시대, 데이터센터가 중요한 이유 3

AI 서비스 확산과 기술 발전에 따라 AI 특화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는데요. 2025년 대한민국에서는 데이터센터가 산업 경쟁력과 미래 성장을 이끄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어요.

오늘은 국내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현황과 AI 시대를 대비하여 데이터센터가 갖는 전략적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AI 고속도로의 거점” SK-AWS 울산 데이터센터 소식 

출처: SK텔레콤 뉴스룸

최근 데이터센터 산업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뉴스는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협력해 울산에 국내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설립한다는 것인데요. 이 뉴스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1️⃣ 국내 최대 규모 AI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총 6만 대 GPU 기반의 초고성능 인프라를 구축하여 한국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AI 허브로 도약시키는 핵심 거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글로벌-국내 협업 모델의 대표 사례

SK와 AWS 간 협력은 국내 민간 기업과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으로, 한국 AI 산업에 세계적 수준의 컴퓨팅 자원을 공급할 기반을 마련하게 됩니다. 

3️⃣ 지역 균형 발전과 산업 전환의 기회

제조 중심의 산업도시 울산에 신성장동력을 제공하고, 지역 균형 발전과 디지털 전환을 동시에 견인할 전략적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AI 시대에 데이터센터가 중요한 이유

출처: Pixabay

1️⃣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AI는 거의 모든 산업의 운영 방식과 경쟁 구조를 바꾸고 있는데요. 이러한 AI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것이 바로 고성능 데이터센터랍니다. 

데이터센터는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처리·분석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이 디지털 혁신을 추진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초거대 AI 모델을 학습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GPU와 같은 고성능 컴퓨팅 자원이 필수적이며, 이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센터의 역할은 날로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2️⃣ 국가 성장 동력 확보

AI 시대에 데이터는 곧 국가 경쟁력입니다. 각국은 데이터를 자국 내에서 보관·처리하는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가 바로 고성능 AI 데이터센터입니다.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AI 특화 대규모 데이터센터는 현재 전 세계 32개국에만 구축돼 있어 AI 인프라가 소수 국가와 기업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I 시대의 석유는 컴퓨팅 능력’이라고 불릴 만큼 데이터센터는 단순한 기술 기반을 넘어 AI 기술의 독립성과 국가 디지털 주권을 확보하는 전략적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3️⃣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의 핵심

AI 데이터센터는 단순히 IT 인프라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신산업의 출발점이자 일자리 창출의 거점이 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센터는 반도체, 전력 관리, 냉각 기술,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산업이 연계되어 발전합니다. 특히 지방에 설립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는 지역 균형 발전, 청년 일자리 확대, 기술기반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 등 사회적 가치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어요.

국내 기업의 데이터센터 현황

✅ 카카오,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유치

출처: 카카오

글로벌 수준의 AI 인프라 구축 사례로 카카오의 남양주 AI 데이터센터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오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급증하는 AI 수요에 대응하고, 일상 속 AI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해 이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해요.

특히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형 AI’ 개발에 활용되며, 빅데이터 분석과 고성능 서버 수용이 가능한 첨단 인프라로 구축됩니다. 정부가 남양주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구역으로 지정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 데이터센터는 국내 AI 디지털 허브이자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핵심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네이버, 엔비디아와 손잡고 글로벌 진출

출처: NAVER

네이버는 글로벌 AI 밸류체인 확장을 위해 북아프리카 모로코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에요. 엔비디아 등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구축되는 이 데이터센터는 데이터 주권이 중요한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저장, 처리, 운영 전 과정을 현지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소버린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될 예정인데요.

이는 단순한 해외 진출을 넘어, EMEA 전역을 아우르는 AI 거점 확보와 국내 AI 기술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이정표로 평가됩니다.

✅ LG CNS의 ‘작은 데이터센터’

출처: LG CNS

LG CNS는 자체 데이터센터가 없는 기업들을 위한 ‘코로케이션(Co-location)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핵심 성장동력으로 추진하고 있어요. 

코로케이션이란, 기업이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하지 않고, 외부의 전문 데이터센터 시설에 입주하는 방식인데요. 코로케이션은 기업이 직접 구축하는 것보다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든다는 것이 장점이에요.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금융, 스타트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네이버 클라우드와 주요 금융사들도 입주해 있습니다.


오늘은 AI 시대, 데이터센터가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데이터센터는 이제 국가의 디지털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이며, 미래 산업을 이끄는 출발점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데이터센터의 확장과 함께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성장의 흐름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업의 AI 도입부터 데이터센터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다빈치에 문의해 보세요. 다빈치는 신뢰를 최우선으로 오랜 경험을 가진 전 분야 IT 제작 및 컨설팅 조직으로, 비개발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한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Share article

Codex - 다빈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