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질문도 알아서 척척! 에이전틱 서치 개념과 적용 사례

에이전틱 서치 뜻을 아시나요? 검색 엔진에서 키워드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AI에게 질문해도 원하는 답변을 알려주는 AI 검색의 비밀을 알려 드립니다.
Da Vinci's avatar
Jun 24, 2025
복잡한 질문도 알아서 척척! 에이전틱 서치 개념과 적용 사례

지난 게시물에서 검색 엔진과 AI 검색의 차이점을 알아봤습니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검색 엔진에 AI 기술을 결합한 챗GPT 서치나 퍼플렉시티와 같은 서비스 인기가 커지고 있는데요. AI 검색의 원리를 이해하려면 에이전틱 서치(Agentic Search)라는 개념을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이번에는 에이전틱 서치 개념을 알아보고, 핵심 특징 및 주로 활용되는 분야를 살펴보겠습니다.

에이전틱 서치란?

출처: freepik

✅ 에이전틱 서치 개념

에이전틱 서치(Agentic Search)에서 ‘에이전틱(Agentic)’은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결정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 시스템’을 말합니다. 

지난번 AI 에이전트와 AI의 차이점을 설명하면서 AI 에이전트는 사람의 개입 없이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솔루션을 도출한다고 소개했는데요.

에이전틱 서치는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여러 단계의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차세대 검색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 전통적 검색 시스템과 차이점

전통적 검색 시스템

에이전틱 서치

작동 방식

키워드 중심 검색 결과 나열

사용자 목적에 충족하는 

요약 답변

결과

문서 링크, 이미지 등

단순 정보 제공

목표 달성 위한

종합적 결과 제공 

사용자 역할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검색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재질문

예시

‘주말 여행지 추천’ 입력

→ 여행지 정보 사이트

 또는 블로그 링크 제공

→ 검색어 입력 반복

‘주말에 여행하기 좋은 여행지와 

각 여행지의 숙소 및 맛집을 

평점 높은 순으로 정리해 줘’ 입력

→ 한 번에 결과 제공

전통적인 검색 시스템에서는 ‘주말 여행지 추천’, ‘강릉 숙소 추천’, ‘강릉 맛집 추천’처럼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선정해 검색 엔진에 입력하고, 링크 형태로 주어진 여러 가지 정보를 일일이 검색해 탐색해야 했습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 정보를 다시 검색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했죠.

하지만 에이전틱 서치는 ‘주말에 여행하기 좋은 여행지와 각 여행지의 숙소 및 맛집을 평점 높은 순으로 정리해 줘’와 같이 사용자가 복잡한 명령어를 입력해도 그 의도에 맞는 답변을 생성할 때까지 검색어 생성부터 관련 문서 탐색 및 선별까지 스스로 반복합니다. 

지난 글에서 소개한 챗GPT 서치, 퍼플렉시티와 같은 AI 검색 서비스는 에이전틱 서치 시스템을 실제 제품(서비스)에서 성공적으로 구현한 사례이죠.

에이전틱 서치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출처: freepik

✅ 자율적 의사결정

에이전틱 서치 시스템은 사용자의 질문 의도와 맥락을 이해하고 필요한 검색 경로를 계획하며,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를 생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작업한 뒤 종합적인 답변을 제공합니다. 

✅ 복합적 작업 수행

에이전틱 서치 시스템은 사용자가 복잡한 질문을 하더라도 여러 단계로 나눠 정보를 탐색하고, 각 단계의 결과를 종합해 최종 답변을 생성하며, 요약, 비교, 계획 수립 등 복합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목표 지향적 행동

에이전틱 서치 시스템은 단순한 정보 검색 결과가 아니라 사용자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행동을 스스로 설계하고 실행합니다. 필요에 따라 스스로 추가 질문을 생성하기도 하고, 검색 과정에서 얻은 정보에 따라 검색 전략을 실시간으로 수정하기도 합니다. 상충하는 정보가 있다면 추가 검증을 할 수도 있어요.

에이전틱 서치, 실제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나요?

에이전틱 서치는 AI가 자율적으로 계획부터 실행을 반복하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며, 다양한 산업에서 자동화와 유연성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알아볼까요?
 

✅ 검색 엔진 및 지식 검색

출처: 퍼플렉시티

퍼플렉시티(Perplexity), 챗GPT 서치, 구글 제미나이(Gemini), 라이너(Liner) 등 AI 검색 서비스는 에이전틱 서치를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성공적인 사례입니다. 이미 많은 사용자가 전통적인 검색 엔진 대신 AI 검색 서비스에서 정보를 탐색하고 있어요. 

앞서 소개한 것처럼 ‘주말에 여행하기 좋은 여행지와 각 여행지의 숙소 및 맛집을 평점 높은 순으로 정리해 줘’와 같이 복잡한 질문에도 다양한 경로의 문서를 검색해 적절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 가상 비서 및 챗봇

출처: 매일경제

가상 비서나 AI 챗봇 역시 에이전틱 서치를 적용해 고객의 복합적인 요청 사항에도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데요.

하나투어는 국내 여행업계 최초로 멀티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하이(H-AI)’를 선보였습니다. 하이는 사용자가 ‘40만 원대 일본 패키지 찾아줘’라는 자연어로 질문하면, 고객 문의 맥락을 분석한 뒤 능동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개인화된 상담 경험을 제공합니다.

✅ 법률 분야

출처: Fahimai

법률 분야에서는 에이전틱 서치 시스템을 활용해 방대한 판례와 법령, 논문 등에서 사용자 질문에 적합한 정보를 탐색하고, 관련 문서를 비교 분석해 법률 자문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런던의 로펌 Allen & Overy는 오픈AI 기반의 Harvey AI와 협업으로 법률 보조 및 자동화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사용자가 ‘첨부한 파일과 유사한 판례를 찾아줘’와 같은 자연어로 질문하면, AI가 관련 판례를 수집해 분석하고,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는 핵심 논점을 정리해 주는데요. 기존의 검색 시스템으로는 수행할 수 없는 복잡한 작업을 알아서 해주기 때문에 법률 전문가는 수작업 검색에 소요되는 수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에이전틱 서치는 AI가 사용자 목적에 맞게 검색부터 탐색, 요약, 결과 도출까지 스스로 수행하는 시스템입니다. 개념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하고 싶다면, 기존에 소개해 드렸던 AI 오케스트레이션, AI 에이전트, AI 검색 관련 글을 읽어보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 AI 에이전트란? 기존 AI와의 차이 및 적용 사례

👉 2025 트렌드 AI 오케스트레이션 정의와 장점, 사례

👉 AI 챗봇과 AI 에이전트, 어떤 점이 다른가요?

👉 검색 엔진 vs AI 질문, 정보 탐색 방법의 변화

기업의 기존 시스템에 에이전틱 서치를 적용하면 업무의 상당량을 자동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는데요. AI 기술을 활용한 업무 자동화에 관심 있다면, 전 분야 IT 제작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개발 조직 다빈치와 상담해 보세요. 모바일 앱 개발, 웹사이트 개발, 어드민/백오피스, RPA/자동화, AI 도입 등 다양한 분야에 경력을 쌓은 다빈치가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Share article

Codex - 다빈치 블로그